본문 바로가기

중등 수학 프린트

중등 3학년 수학 > 이차함수 >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왜 포물선 모양일까?

중등 3학년 수학 > 이차함수 >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왜 포물선 모양일까? 

 

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모양이지만,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볼록한 곡선 모양입니다. 다른 말로 '포물선 모양'이라고 부르는데요, 왜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포물선 모양이 나오는 걸까요? 

 

그건 바로 함수식에 답이 있습니다. 

이차함수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y=x2입니다. 

 

함수의 그래프가 그려지는 원리는 함수식을 만족시키는 x, y의 값이 순서쌍 (x,y)의 점으로 표현되는 것입니다. 

그러므로 이차함수도 예외없이 x의 값에 대응되는 y의 값을 점점으로 나타낸게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된 것이죠. 

 

다음 문제를 살펴보면서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. 

 

이차함수 y=2x2의 그래프를 그리는데 아무런 정보가 없다면 우선 x에 몇 개 값을 넣어 y의 값을 구하고, 그것을 (x,y) 점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. 

 

위 표는 이차함수를 성립시키는 xy의 값들인데요, 이 내용을 그래프화 시킨 것이 순서쌍입니다. 

(3,18), (2,8), (1,2), (0,0), (1,2), (2,8), (3,18)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, 

이렇게 점들이 찍혀있어요. 이 점들은 전체 그래프의 일부분인데요, 어떤 모양일지 짐작할 수 있어요. 

이렇게 선으로 연결해보니 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모양이 되었습니다. 이차함수가 포물선 모양인 이유는 다름아니라, 함수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(x,y)들이 포물선 모양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. 바로 이차항의 제곱이 그 역할을 하게 만든 것이죠. 

 

이렇게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왜 포물선 모양이 되는지 살펴보았습니다. 

아래는 위 문제와 동일한 문제 유형을 연습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. 

모두매쓰에서 생성하였습니다. 

 

[모두매쓰에서 생성한 이차함수 그래프 연습]

 

중등 3학년 수학 > 이차함수 >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왜 포물선 모양일까?